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산 구리제품에 대해 50% 관세 부과를 발표한데 이어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도 이달말 발표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수출산업에 또다시 적신호가 켜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반도체, 의약품, 구리 등 몇몇 품목에 대해 곧 발표할 것"이라며 품목별 관세 방침을 언급했다. 구리에 대해서 "관세는 50%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 상무장관 하워드루트닉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국가안보 조사 결과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했다"며 "이달 말까지 절차가 마무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언급에 따라 미국산 구리 선물 가격은 10% 이상 급등했고, 미국 내 반도체·의약품 관련주들은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반도체는 아직 관세율과 적용 시점이 구체화되지 않았으나, 미국 내 수요와 공급망 구조를 고려할 때 한국 수출에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이번 관세 방침의 주요 타깃으로 언급됐다. 이번 결정은 반도체 등 한국 주력 산업에 대한 고관세 방침과 연계된 압박으로 해석된다.
구리는 전기차, 건설, 군수 분야 핵심 자재로, 미국은 지난해 약 81만톤의 정제 구리를 수입했다. 최대 수입국은 칠레이며, 한국산 동박 등도 배터리 생산에 활용된다. 현지업계는 "어떤 국가에 예외를 둘지 확인 전까지는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를 주요 재정 수입원으로 내세우며 "올해 말까지 최대 3000억달러(약 410조)의 수입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8월 1일부로 새로운 관세 체계를 발효하겠다는 방침도 거듭 확인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해서는 1년 또는 1년 반의 유예기간을 준 뒤, 이후에는 최대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하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