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한국산' 제품 불티나게 팔렸다...자동차 수출 40% '껑충'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2-01 15:03:07
  • -
  • +
  • 인쇄
1월 수출액 480.1억달러 기록...9개월 연속 무역 흑자행진
고부가가치 품목 성장세 '뚜렷'...10대품목 3개월 연속 증가

지난해 12월 4.4%나 감소했던 자동차 수출이 올 1월 무려 40.2%나 껑충 뛰면서 2017년 9월 이후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전기자동차 등 수요가 증가하고, 코로나19로 자가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국가의 자동차 수출이 두 자릿수로 증가한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개한 '1월 수출실적'에 따르면 전세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1.4% 늘어난 480억1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산뜻하게 2021년을 출발했다. 1월 수입은 3.1% 늘어난 440억5000만달러였지만 수출이 대폭 늘면서 39억6000만달러의 무역흑자를 냈다. 9개월 연속 흑자행진이다.

수출이 2개월 연속 두 자릿수로 늘어난 것도 2017년 8∼9월 이후 40개월 만이다. 1월 총수출액 480억1000만달러는 역대 1월 실적 가운데 두번째로 높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평균 수출액도 6.4% 늘어난 21억3000만달러로 집계됐다. 1월 하루평균 실적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21억달러를 넘어서, 역대 1월 최고치를 달성했다.

▲왼쪽은 수출 증감율 추이(%), 오른쪽은 수출액 추이(억달러)

◇고부가가치 품목 약진 덕분에 수출단가 29.9% 증가

수출액 증가요인은 수출단가가 높아진 덕분이다. 수출단가는 3년 9개월만에 가장 높은 증가세(29.9%)를 보였다. 시스템반도체(16%), 전기차(81%), OLED(52.1%), 의료기기(64%), 바이오헬스(66.5%) 등 고부가가치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나면서 전반적으로 수출성장을 견인했다. 농수산식품(12.8%), 화장품(62.6%) 등 유망품목도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주력 수출 15대 품목 중 반도체, 자동차 등 12대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12대 품목은 반도체(21.7%), 자동차(40.2%), 철강(6.0%), 석유화학(8.6%), 선박(23.4%), 디스플레이(32.2%), 차부품(3.9%), 무선통신기기(58.0%), 컴퓨터(5.7%), 이차전지(9.9%), 바이오헬스(66.5%), 가전(19.1%) 등이다. 주력 수출 10대 품목이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은 40개월만에 처음이다. 

특히 IT 관련 품목이 수출세가 두드러졌다. 반도체 수출은 21.7% 증가해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이어갔고 무선통신기기(58.0%), 디스플레이(32.2%)는 각각 16년여만, 10년 만에 최고 증가율을 나타냈다. 무선통신기기는 16년 8개월만에, 디스플레이는 10년 8개월만에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은 전달 4.4% 감소에서 1월 40.2% 증가로 돌아서며 2017년 9월 이후 최고 증가율을 보였다. 선박도 부유식해양 구조물의 통관 등으로 23.4%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바이오헬스는 1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다. 

▲15대 품목별 1월 수출증감률(%)

◇ '미·중·EU' 40개월만에 20% 이상 성장

올 1월에는 9개 수출지역 가운데 5개 지역에서 수출이 늘었다. 특히 미국과 중국, EU 등 3대 시장은 40개월만에 모두 20% 이상 증가했다.

미국 수출은 83억9000만달러를 기록해 월 수출액 기준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대형 선박을 비롯한 자동차·반도체 등 주력 품목의 수출이 늘어난 덕분이다.

중국은 기저효과 영향과 IT품목 및 석유제품 수출호조 등으로 지난 2018년 8월 이후 29개월만에 22% 증가하면서 20%대를 회복했다. 지난해 1월 대중국 수출은 춘절과 코로나19 영향으로 11% 감소했다. 

EU는 코로나19 진단키트와 친환경 LNG선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23.9% 수출이 늘면서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EU의 선박수출은 무려 4083.7% 늘었고, 진단키트 등 바이오헬스 수출은 177.8% 증가했다.

반면 아세안 지역 수출은 감소했다. 지난달 수출이 늘었던 일본은 8.5% 줄었다. 중동은 13.2% 감소하면서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올해는 수출 반등을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수출품목 다양화와 고도화,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육성 그리고 이를 통한 수출 저변확대, 디지털 무역활성화 등 수출시스템의 고도화 등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주요 지역별 1월 수출 증감률(%)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T 판교·방배 사옥 경찰 압수수색…서버폐기로 증거은닉 의혹

해킹사고 처리과정에서 서버를 의도적으로 폐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KT가 압수수색을 당했다.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

셀트리온, 美에 1.4조 韓에 4조원 투자..."4Q 실적 턴어라운드"

일라이 릴리로부터 미국 공장을 인수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보한 셀트리온은 의약품에 대한 미국 관세리스크를 털어내고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A+등급' 20곳...올해도 S등급 'O'

하나금융지주와 KB금융, 신한지주와 현대백화점, 현대로템 등 20개 기업이 한국ESG기준원에서 주관하는 '2025 ESG 평가'에서 통합등급 'A+'를 획득했다. 이

CJ제일제당 '빨대없는 스토어' 캠페인...대체소재로 PHA 제안

CJ제일제당이 자원순환사회연대(NGO), CJ푸드빌과 함께 일회용 석유계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빨대없는 스토어 만들기(Be Straw Free)' 캠페인을

호텔신라, 친환경 운영체계 구축 나선다

호텔신라의 모든 호텔 브랜드가 친환경 호텔로 도약한다.호텔신라는 글로벌 친환경 인증기관인 '환경교육재단(FEE; Found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과 업

KT 새 대표이사 후보군 33명...본격 심사 착수

KT의 대표이사 후보 공개모집이 마감되면서 차기 대표이사 후보군이 33명으로 확정됐다.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4∼16일 진행한 대표이사 후보

기후/환경

+

[COP30]"BTS에 영감받아"...K팝 팬들도 '탈탄소화' 촉구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고 있는 브라질 벨렝에서 케이팝(K-팝) 팬들이 '문화 분야의 탈탄소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K-팝

내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1700톤 쓰레기 어디로?

내년부터 수도권 지역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시행됨에 따라, 소각장 설비를 아직 마련하지 못한 경기도와 서울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예기치 못

[COP30] 산림지키는 기후총회에...농업 로비스트 300명 활동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 300명이 넘는 농업 로비스트가 몰리자, 원주민과 환경단체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COP30] AI는 기후위기 해결사? 새로운 위협?

인공지능(AI) 기술이 기후대응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동시에 막대한 전기수요를 발생시켜 기후위기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18일(현

섬에서 새로 발견된 미기록 곤충 55.5% '열대·아열대성'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약 절반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농촌 기후대응 직불금' 도입되나...기후보험 대상 확대

기후변화로 인해 농작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지역이 바뀌는 경우나 기후변화 대응 품종을 도입할 때 직불금을 주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한다.정부는 19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