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이태원 참사 직전 "사람 살려"…인파에 떠밀려서 아비규환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3 14:53:15
  • -
  • +
  • 인쇄
경찰, CCTV영상 공개…"군중 유체화가 원인"
▲해밀톤호텔 골목 CCTV, 참사 발생 1분 전 시민들이 꼼짝 못하고 있다(영상=특수본)


지난해 158명의 희생자를 낸 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책임 규명에 나선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13일 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활동을 마무리했다.

특수본은 13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3D 시뮬레이션 감정과 김영환 국립중앙의료원 외상센터장, 박준영 국립금오공대 교수 등 전문가 자문을 종합한 사고 원인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특수본이 이날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참사 당일인 지난해 10월 29일 오후 10시 15분께 이태원 세계음식거리에서 밀집된 시민들이 갑자기 빠른 속도로 해밀톤호텔 옆 T자형 골목으로 쏠렸다. 특수본은 이로 인해 해당 골목의 A주점 앞에서 여러 사람이 동시다발적으로 넘어졌다고 설명했다.

사고 발생 골목 폐쇄회로TV(CCTV)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해당 골목의 군중 밀도는 오후 10시15분께 평방미터(㎡)당 7.72~8.39명에서 5분 뒤 ㎡당 8.06~9.40명으로 증가했다.

참사 당시 사고가 발생한 지역에는 '군중 유체화' 현상이 발생할 만큼 인파가 과도하게 밀집했다. 군중 유체화 현상이란 사람들이 과도하게 밀착하면서 각각 독립적인 입자가 아닌 유체와 같은 운동 상태를 띄는 것으로 이태원 참사 발생 원인으로 꼽힌다.

군중 유체화는 오후 9시께부터 밀려드는 인파로 인해 발생했고 사고 발생 직전인 오후 10시 13분께는 T자형 골목으로 인파가 떠밀려오는 바람에 더 뚜렷해졌다.

오후 10시15분 처음으로 인파가 넘어진 이후 약 15초 간 뒤편에서 따라오던 사람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넘어지는 상황이 이어졌다. 이런 상황이 10분간 지속되면서 10m에 걸쳐 수백 명이 겹겹이 쌓이고 끼이는 압사가 발생했다.

특수본은 참사 당시 피해자들이 평균 224~560㎏의 압력을 받았을 것이라 분석했다. 이로 인해 158명이 사망하고 196명이 부상을 입었다.

특수본은 많은 인파가 몰리게 된 이유로 지역적·장소적·시기적 요인을 꼽았다. 외국인 밀집 거주지역인 이태원은 핼러윈 데이 때마다 많은 사람이 몰렸고 특히 해밀톤호텔 옆 골목은 T자형 내리막 경사라 위에서 인파가 쏠리기 쉬운 구조로 돼있다. 게다가 이태원역 1번 출구 바로 앞에 있어 지하철로 오가는 인파가 꾸준히 유입되는 곳이다.

또 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되며 실외 마스크 착용, 일정 인원 이상 집합 금지, 식당 영업시간 제한 등 여러 방역 조치가 해제된 것도 인파가 몰린 원인으로 짚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하나금융, 사회혁신기업 지원한다...'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

하나금융그룹이 사회혁신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하나 ESG 더블임팩트 매칭펀드' 데모데이를 지난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개최했다고

우리은행, 기후취약계층에 한파대응 물품과 김장김치 전달

우리은행이 기후변화 취약계층의 겨울나기를 돕는 데 나섰다.우리은행은 홀몸어르신, 쪽방촌 저소득주민, 장애인 가구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이 따뜻

쉐코 해상방제로봇 'CES 2024' 2개부문 혁신상 수상

SK이노베이션이 육성하는 환경소셜벤처 쉐코가 내년 1월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4'를 앞두고 발표된 'CES 혁

토요타·폭스바겐·현대기아...SUV 판매증가로 탄소저감 노력 '물거품'

연비가 낮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비중이 늘면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이 전기차 판매로 저감된 탄소배출량을 압도하고 있어 자동차 제조기업들

KT, ESG 벤처지원 프로그램 '따뜻한기술더하기' 성과공유회 개최

KT가 '따뜻한기술더하기' 챌린지의 6개월간 일정을 마치고 참여한 기업의 결과물을 공유하는 '최종 성과 공유회'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따뜻한기술

제주도, 쓰레기로 12억원 벌었다

제주도가 올해 쓰레기를 수거해 12억원 이상 벌었다.28일 제주도는 올해 10월말까지 제주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로 반입된 재활용품 5687톤 가운데 4944톤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