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로 파괴된 美 옐로스톤..."재건에 수년 수십억불 소요"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6-20 18:18:15
  • -
  • +
  • 인쇄
기후위기가 낳은 홍수로 수백개 다리 파괴
"최소 10억달러 이상의 비용이 들어갈 것"
▲ 옐로스톤 국립공원과 인접한 몬태나주 레드로지의 한 가옥이 홍수에 쓸려 내려가고 있다.(사진=AP/연합뉴스)


몇 일전 엄청난 규모의 홍수로 참혹하게 파괴된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Yellowstone National Park)이 원상태로 회복되려면 수십 억달러를 수 년간 쏟아부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옐로스톤은 최근 집중호우가 이어진 데다 산정상의 눈이 급격하게 녹으면서 발생한 대홍수로 지난 13일(현지시간) 주 출입구가 모두 폐쇄된 바 있다. 지난 1988년 대형 산불로 공원의 주 출입구 5곳이 폐쇄된지 34년만이다. 

이번 홍수로 옐로스톤 강과 지류가 범람하면서 기반 시설물들이 대부분 부서졌다. 특히 몬태나주 가드너에 위치한 공원 북쪽 입구와 맘모스온천(Mammoth Hot Springs)에 위치한 공원 사무실을 연결하는 고속도로의 피해가 가장 컸다. 가드너 강이 범람하면서 도로의 상당 부분이 유실됐고, 산책로에 설치된 다리 수백 개가 파괴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백 채의 가옥도 물에 잠겼다.

옐로스톤 홍수 피해규모는 아직 집계중이지만 전문가들은 지금까지 다른 국립공원 재해피해 사례로 비춰봤을 때 옐로스톤의 이번 피해복구는 수년이 걸리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도 수억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에밀리 두스(Emily Douce) 미국 국립공원관리협회(National Park Conservation Association) 운영기금 담당이사는 "최소 10억달러 이상의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워싱턴주 레이니어산 국립공원(Mount Rainier National Park)도 2006년 역사상 최악의 홍수로 6개월동안 문을 닫은 적이 있다. 당시 도로와 산책로, 야영장, 건물들이 홍수로 피해를 입었는데 그 규모가 3600만달러로 추산됐다.

25년전 캘리포니아주 요세미티 국립공원(Yosemite National Park)도 옐로스톤과 비슷한 홍수를 겪었다. 당시 요세미티계곡은 폭우로 다리와 도로가 유실됐고, 전력과 하수도관이 붕괴됐다. 야영지와 호텔들은 물에 잠겼다. 15년에 걸쳐 5억2800만달러를 들여 이를 복구했다. 미 의회는 1억7800만달러를 복구비용으로 할당했는데 결국 추가로 2억5000만달러를 더 들여야 했던 것이다.   

옐로스톤 홍수 피해는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도 원상태로 되돌리기 어려울 수 있다는 회의적 시선도 있다. 특히 맘모스온천 인근의 도로는 돌계단 위로 간헐천이 솟구치는 독특한 지형이 특징인데,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미생물과 곤충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1872년 미국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옐로스톤은 미국에서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지역으로 꼽힌다.

브렛 하틀(Brett Hartl) 생물다양성센터 정부부장은 "이곳은 자연 형성된 지하관과 통풍구가 뜨거운 물을 지표면으로 밀어내는 구조"라고 설명하며 "도로 재건 과정에서 조심해야 하는 많은 자연의 경이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또 아메리카 원주민의 역사가 깃든 고고학적·문화적 유물이 풍부하게 있어 이를 훼손하지 않고 시설을 재건하는 데 상당한 어렵다는 것이다.

캠 숄리(Cam Sholly) 옐로스톤국립공원 감독관은 "이번 재건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유사한 홍수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도로를 수리하는 데 수천만 달러 이상을 쓰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고 일침했다.

하지만 긍정적인 내용도 있다. 하틀 정부부장은 "가드너 강을 끼고 있는 도로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강과 그곳에서 번성하는 생물종들을 차량에서 유출되는 기름 및 오염에서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프랭크 딘(Frank Dean) 요세미티공원관리인 출신 요세미티관리단(Yosemite Conservancy) 회장은 "요세미티 홍수는 공원 계획을 재고할 기회였다"며 "반드시 같은 장소에 재건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했다.

옐로스톤의 재건작업은 빠르게 착수되고 있다. 공원은 이미 '그레이트 아메리칸 아웃도어스 액트(Great American Outdoors Act)' 법안의 자금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해당 법안은 공공토지 유지 및 기타 프로젝트용 자금 약 30억달러를 지원하는 법안으로 2020년 미 의회에서 승인됐다.

옐로스톤 공원 남쪽은 다음주 재개장하며 방문객들을 맞을 예정이다. 그러나 홍수로 피해를 입은 북쪽은 연내 재개장이 어려울 전망이다. 이 지역의 재개장 여부는 침수된 도로의 수리를 비롯해 산사태·나무잔해 제거작업이 얼마나 빨리 이뤄지는가에 달려있다. 하틀 정부부장은 "공원이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오기까지는 아마도 몇 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기후변화로 자연재해가 증가하면서 미국 내 국립공원의 피해는 끊이지 않고 있다. 2009년 로키산맥기후기구(The Rocky Mountain Climate Organization)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내 400개가 넘는 국립공원이 홍수 등 재해에 노출돼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현대백화점그룹, 48명 임원인사..."변화보다 안정성에 방점"

현대백화점그룹이 30일 사장 1명, 부사장 2명을 포함해 승진 27명, 전보 21명 등 총 48명에 대한 정기 임원 인사를 2026년 1월 1일부로 단행했다. 인사 폭은

SK AX, 김완종 CCO 사장으로 승진..."AX 이끌 적임자"

SK㈜ AX는 김완종 최고고객책임자(CCO)를 신임 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국내 산업 전반에서 AX(AI Transformation) 확산이 본격화되고 기업들의

SKT 사령탑 교체...신임 CEO에 정재헌 사장 선임

SK텔레콤은 정재헌 대외협력 사장을 신임 CEO로 선임했다고 30일 발표했다.정재헌 신임CEO는 법조인 출신으로 2020년 법무그룹장으로 SKT에 합류했다. 2021

"2035년 NDC 61% 미만이면 기후관련 민간투자 위축될 것"

국내 기후관련 투자와 산업을 성장시키려면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가 최소 61% 이상이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30일 기후솔루션과 글로벌기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기후/환경

+

“기후위기 시대, 아이 낳기 두렵다”…출산 기피하는 美 Z세대

기후위기에 대한 불안이 미국 젊은 세대의 출산 결정까지 흔들고 있다.피유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미시간대 사회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조

1분마다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온난화로 年54.6만명 목숨잃어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인구 가운데 1분에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난화에 따른 영향으로 90년대에 비해 23% 증가한 54만6000명의 전

섬나라 쑥대밭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4일만에 괴물로 변한 이유

카리브해 섬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Melisa)가 짧은 시간에 역대급 초강력 폭풍우로 발달한 것은 '해양온난화'가 원인으로 꼽혔다.

현대차 울산 수소연료전지 공장 기공식…기후장관 "모빌리티 탈탄소화 지원"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내에서 수소연료전지 공장이 들어선다.현대자동차는 울산 북구에 위치한 울산공장 내 수소연료전지 공장부지에서 '수소연료전

이산화탄소로 '친환경 연료' 핵심원료 만드는 신촉매 개발

이산화탄소로 친환경 연료의 핵심원료를 만드는 신촉매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구기영 박사 연구팀은 이산화탄소를 수소와

"2035년 NDC 61% 미만이면 기후관련 민간투자 위축될 것"

국내 기후관련 투자와 산업을 성장시키려면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가 최소 61% 이상이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30일 기후솔루션과 글로벌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