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발전 퇴출없는 '재생에너지 입찰제'..."재생에너지 경쟁력 저하"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5-30 16:18:20
  • -
  • +
  • 인쇄

제주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에서 정작 화력에너지는 퇴출시키지 않아 적극적인 재생에너지 확대가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기후솔루션은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며 화력에너지를 퇴출하지 않을 경우 재생에너지의 수익성을 떨어트려 발전사업 시장 참여도를 감소시킬 것을 우려했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는 재생에너지가 다른 일반발전기와 동일하게 전력시장 입찰에 참여해 전력시장 가격결정에 기여하고 일반 발전기와 동등한 대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기후솔루션에 따르면 가장 변동비가 저렴한 발전원부터 낙찰받아 해당 시간대 전력수요를 충족하는 CBP 시장 특성상 변동비가 0원인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낙찰량만큼 그보다 변동비가 비싼 화력발전기가 덜 가동돼야 하므로 SMP가 하락한다.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및 VPP 사업자는 제도 참여여부와 관계없이 SMP 하락으로 수익성이 줄어들 수 있는 셈이다.

또 재생에너지 사업자가 임밸러스 페널티를 회피하고자 정격 용량보다 과소 입찰하면서 전력생산량도 감소할 수 있다고 기후솔루션은 설명했다. 임밸런스 패널티는 급전지시량 대비 계량실적(실시간 발전량) 편차가 허용오차를 벗어난 경우 과잉 발전량에 대해 실시간 시장가격으로 패널티 부과하는 제도다. 이로 인해 입찰량이 줄면 용량요금도 감소해, 결국 수익 감소가 예상되는 것이다. 

발전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예측오차율 적용으로 과도한 패널티가 부여되는 것은 아닌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기후솔루션은 덧붙였다.

기후솔루션은 도내 계통 여건 개선 없이는 제주 재생에너지 확대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도내 화력발전 퇴출 및 신규 유연성 자원 확대 등 명확한 전력계통 체질개선 로드맵 없이 입찰제도만으로는 안정적 전력계통과 재생에너지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전력수급기본계획 상 자원별 피크기여도를 참고했을 때 국내 가스복합발전은 정격용량 대비 실효용량 100%, 태양광은 13.9%으로 산정된다. 이때 kW당 국내 가스복합발전 설비투자비와 태양광 설비투자비는 20% 정도 차이 나는 반면, 태양광발전 용량요금 정산시 인정받을 수 있는 용량은 가스복합발전의 10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이를 고려하면 입찰제도 참여를 통한 태양광발전사업자의 용량요금 기대수익 또한 가스복합발전의 10분의 수준이다.

풍력발전의 정격용량 대비 실효용량은 2.2%에 불과하고, 국내 육상풍력은 kW당 설비투자비 약 270만원, 해상풍력은 550만원 수준이라 투자비 대비 용량요금 보상수준이 낮다고 기후솔루션은 지적했다.

현재 제주에 위치한 머스트런 발전설비는 모두 화력발전소다. 단위용량은 94~146MW로 최대전력 대비 10% 수준이며 육지 계통의 경우 기저발전설비 최대 단위용량은 1.4GW로 최대전력 대비 1-2% 수준에 불과하다. 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머스트런 발전기의 용량도 클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국 머스트런의 단위용량이 줄어들지 않으면 결국 출력제한을 당하는 것은 재생에너지 뿐이고, 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에 있어 수익성 예측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출력제한에 대한 보다 명확한 기준과 예측가능성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이에 재생에너지의 양적 확대에 출력제한이라는 리스크가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기후솔루션은 제주도 내 신규 가스발전 건설 계획을 전면 철회하고 이에 기후솔루션은 제주도 내 신규 가스발전 건설 계획을 전면 철회하고 화력발전에 유리한 용량요금 정산방식을 개선할 것을 촉구했다. 여기에 기존 머스트런 발전설비 단위용량을 최소화하고 임밸런스 패널티 부여 기준을 개선하라고 기후솔루션은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 저소득층 아이들 위한 기부천사 '드림팩' 진행

코오롱그룹이 저소득가정 아이들을 위한 선물꾸러미 '드림팩(Dream Pack)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캠페인은 지난 2012년부터 시작된 코

과대포장과 스티로폼 '확 줄었다'...설 선물세트 '친환경' 대세

과대포장과 스티로폼 포장이 판을 치던 예년과 달리, 올해 설 선물세트 시장은 친환경 포장재가 대세로 굳어진 모습이다. 20일 본지가 백화점과 대형마

트럼프 취임식 4대그룹 총수 '불참'...참석하는 韓기업인 누구?

오는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열릴 예정인 가운데 취임식에 참석하는 우리 기업인들의 명단도 윤곽이 드러나고

네이버, IDC주변 생물다양성 보전 위해 생태학회와 '맞손'

네이버가 한국생태학회와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을 발굴하고 ESG경영을 고도화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17일 네이버는 "이번 협업으로 네이버와 한국생

"어려운 전문용어 쉽게"...LG U+, 2만개 용어와 문구 개선

LG유플러스가 지난 2017년부터 진행해온 '고객 언어혁신' 활동의 결과로 총 2만개의 통신용어와 문구를 검수해 고객중심의 언어로 순화했다고 16일 밝혔

CJ제일제당, ESG 속도...BIO부문 '전과정평가(LCA)' 완료

CJ제일제당이 BIO사업부문 주요 사업장에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이하 LCA)를 완료하며 글로벌 지속가능경영(ESG)에 속도를 낸다.CJ제일제당은 미

기후/환경

+

'물폭탄' 6시간 전에 알려준다...기상청, AI로 기상예보 고도화

앞으로 '물폭탄'이 쏟아지는 것을 대비할 수 있도록 호우 6시간 전 강수를 미리 알려줄 수 있도록 기상예보 시스템을 고도화한다.기상청은 인공지능(AI)

강진에 화산까지 분화...일본과 대만 잇딴 재해에 '공포'

일본에 이어 대만에서도 강진이 발생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화산까지 분화하면서 후지산 폭발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대만에서는 21일(현

트럼프 '파리기후변화협약' 또 탈퇴...美 '反친환경' 행보 본격화되나

예상대로 도널드 트럼프가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하자마자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또 탈퇴했다. 이로써 미국은 지난 2017년 트럼프 집권 1기 때

'트럼프 2.0' 시대...美 기후정책 어디까지 후퇴할까?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도널드 트럼프가 20일(현지시간) 미국의 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 미국의 기후정책가 대거 후퇴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

서부는 '가뭄' 동부는 '폭설'...美 이상기후 원인 밝혀졌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수록 겨울철 대기순환이 변해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 가뭄, 폭우, 한파와 같은 극한 기상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연구

가뭄이 빚어낸 대재앙 'LA산불'…우리나라는 안전할까?

12일째 이어지고 있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산불의 직접적인 원인이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으로 지목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비슷한 위협을 받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