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는 죽음의 바다?...바닷새 90% 멸종위기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4 08:45:02
  • -
  • +
  • 인쇄
온난화·산성화로 해양생물 급감
어류 75% 미세플라스틱 검출도
▲뉴질랜드 포트찰머스에서 촬영한 페닌슐라 해안가 (사진=언스플래쉬)

뉴질랜드 바다가 온난화·산성화되면서 토착 바닷새 및 해양생물들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뉴질랜드 환경부는 해양 상태에 관한 암울한 현황을 발표했다. 보고에 따르면 토착 바닷새의 90%, 토착 도요새·물떼새류의 82%, 해양무척추동물의 81%, 해양포유류의 22%가 멸종위기종이거나 그럴 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한 해 동안 4100마리 이상의 바닷새들이 연승어업에 죽고 해양온난화·산성화로 수온이 오르면서 타옹가(taonga;마오리어로 보물)라고 불리는 뉴질랜드 토착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됐다고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1998년에서 2020년 사이에 해양산성도가 8.6% 증가하고 전반적인 수온이 상승했으며 해양폭염이 점점 잦아지고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뉴질랜드 어류의 75%, 즉 4마리 중 3마리 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전통 식량공급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부 상황은 개선되거나 유지됐다. 보고서는 질소·인 오염의 경우 정부에서 전국적 조치를 취하면서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추세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제니 세이지(Eugenie Sage) 녹색당 대변인은 "우리 바다의 건강이 빠르게 악화되면서 귀중한 서식지를 영원히 잃을 위험에 처해있다"며 어업규제강화,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확대, 해양보호구역의 확대를 요구했다.

환경보호단체 포레스트앤버드(Forest and Bird)는 이 발견을 "위기"라고 불렀고, "대부분의 해양포유류, 어류, 무척추동물이 직면한 멸종위험은 연구부족으로 알려지지 않고 있어 실제 위기 규모는 훨씬 더 심각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니콜라 토키(Nicola Toki) 포레스트앤버드 최고경영자는 "섬나라인 뉴질랜드는 해양생태계의 건강에 의존한다"며 "어업은 이미 해양온난화로 죽어가는 연어, 호키(뉴질랜드 근해산 어류) 및 가재에 고통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바다를 마땅히 보호하기 위해 시급한 당간 정치적 행동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