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는 죽음의 바다?...바닷새 90% 멸종위기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4 08:45:02
  • -
  • +
  • 인쇄
온난화·산성화로 해양생물 급감
어류 75% 미세플라스틱 검출도
▲뉴질랜드 포트찰머스에서 촬영한 페닌슐라 해안가 (사진=언스플래쉬)

뉴질랜드 바다가 온난화·산성화되면서 토착 바닷새 및 해양생물들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뉴질랜드 환경부는 해양 상태에 관한 암울한 현황을 발표했다. 보고에 따르면 토착 바닷새의 90%, 토착 도요새·물떼새류의 82%, 해양무척추동물의 81%, 해양포유류의 22%가 멸종위기종이거나 그럴 위험에 처한 것으로 분류됐다.

보고서는 한 해 동안 4100마리 이상의 바닷새들이 연승어업에 죽고 해양온난화·산성화로 수온이 오르면서 타옹가(taonga;마오리어로 보물)라고 불리는 뉴질랜드 토착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됐다고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1998년에서 2020년 사이에 해양산성도가 8.6% 증가하고 전반적인 수온이 상승했으며 해양폭염이 점점 잦아지고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뉴질랜드 어류의 75%, 즉 4마리 중 3마리 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전통 식량공급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부 상황은 개선되거나 유지됐다. 보고서는 질소·인 오염의 경우 정부에서 전국적 조치를 취하면서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추세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제니 세이지(Eugenie Sage) 녹색당 대변인은 "우리 바다의 건강이 빠르게 악화되면서 귀중한 서식지를 영원히 잃을 위험에 처해있다"며 어업규제강화,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확대, 해양보호구역의 확대를 요구했다.

환경보호단체 포레스트앤버드(Forest and Bird)는 이 발견을 "위기"라고 불렀고, "대부분의 해양포유류, 어류, 무척추동물이 직면한 멸종위험은 연구부족으로 알려지지 않고 있어 실제 위기 규모는 훨씬 더 심각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니콜라 토키(Nicola Toki) 포레스트앤버드 최고경영자는 "섬나라인 뉴질랜드는 해양생태계의 건강에 의존한다"며 "어업은 이미 해양온난화로 죽어가는 연어, 호키(뉴질랜드 근해산 어류) 및 가재에 고통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바다를 마땅히 보호하기 위해 시급한 당간 정치적 행동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환경부 '한국형 녹색채권' 3.9조 발행..."녹색산업이 국가경쟁력 좌우"

올 연말까지 총 3조9000억원 규모 한국형 녹색채권이 발행된다.25일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서울 용산구 몬드리안호텔에서 '2024년 한국형 녹색

전력거래소 비상임 3명 고발당했다..."이해충돌방지법 위반"

전력거래소가 선임한 비상임이사 3명이 이해충돌방지법 위반으로 고발당했다.25일 기후솔루션과 18개 태양광협동조합, 대한태양광발전사업자협회, 전

당장 코앞에 닥친 국제환경규제..."대-중소기업 상생으로 대응해야"

급박하게 돌아가는 환경통상규제를 적시에 대응하려면 공급망 전체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대중소기업 상생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

빙그레, 탄소중립 실천·자원순환 활성화 MOU

빙그레가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E-순환거버넌스와 탄소중립 실천 및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업무협약

포스코, 해수부와 '바다숲' 조성 나선다

포스코가 블루카본과 수산자원 증진을 위해 바다숲을 조성한다.포스코는 24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해양수산부, 한국수산자원공단 및 포항산업과학연

두나무, 사내 ESG캠페인으로 1년간 1만8000kg 탄소감축

두나무가 임직원 대상 ESG 캠페인을 통해 지난 1년간 약 1만8000kg의 탄소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24일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는 지난 1년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